-
목차
캐나다에서 생활을 시작하면 음식에 대한 가장 큰 변화는 한식 재료를 쉽게 구할 수 없다는 점이다.
익숙한 반찬, 양념, 즉석식품 하나를 찾기 위해 몇 시간을 운전하거나, 가격 부담 때문에 구매를 망설이게 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최근에는 한인마트의 전국 확장, 온라인몰의 발달, 아시아 슈퍼마켓의 한식 진출 등으로 인해 한국 식재료를 구하는 것이 과거보다 훨씬 쉬워졌다.이 글에서는 캐나다에서 한식을 즐기고 싶은 사람들을 위한 마트 추천, 온라인 주문 방법, 대체재 활용법까지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팁 중심으로 정리했다. 유학생, 워홀러, 이민자 모두에게 필요한 생활 정보다.1. 캐나다 주요 도시에 위치한 대표 한인마트 정리
캐나다의 한인 인구가 많은 도시를 중심으로 대형 한인마트 체인들이 운영되고 있으며, 대부분 한국에서 수입된 식품, 냉동식품, 반찬류, 주방용품까지 폭넓게 취급한다.
① 밴쿠버 (Vancouver)
- H Mart (Robson, Lougheed, Coquitlam 등): 전국 최대 규모의 한인마트 체인. 가격은 다소 높지만 품질과 진열 품목이 우수
- HanNam Supermarket: 가격 경쟁력 있는 마트, 행사 주간 활용 추천
- 부산마트: 지역 한인 밀착형 소형 마트, 신선식품 위주
② 토론토 (Toronto & GTA)
- PAT Mart: 다운타운 중심 매장, 접근성 우수
- Galleria Supermarket: 체인 다수, 한식 반찬과 베이커리 섹션 인기
- H Mart North York: 규모 크고 다양한 수입제품 존재
- C&C Supermarket (아시아계 복합 마트): 한국 식자재 비중이 점점 증가 중
③ 캘거리, 에드먼턴, 오타와 등 중소 도시
- 대형 체인은 없지만, 지역별로 한두 곳의 소형 한인마트 운영 중
- 일부는 중국계 마트 내 한식 코너 존재 (예: T&T Supermarket 내 한식 코너)
2. 한국 식품 온라인몰 이용법
오프라인 매장이 먼 지역 거주자라면, 최근 급성장 중인 온라인 한식 쇼핑몰을 활용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택배 시스템이 안정적이며, 대부분 냉장/냉동 포장 배송이 가능하고, 최소 구매 금액 이상 시 무료배송 혜택도 있다.대표적인 온라인몰:
- H Mart 온라인몰 (hmart.ca)
- 전국 배송 가능
- 라면, 양념, 냉동반찬, 떡, 밀키트 등 다양
- 배송비 $5~10 / $49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 K-Food Mart (kfoodmart.ca)
- 중소 한식 브랜드 중심 / 깔끔한 인터페이스
- 밑반찬, 국물요리 밀키트 중심
- SFMart.ca (Smart Farm Mart)
- 한국 야채와 제철 식품 위주
- 무료배송 기준 다소 높지만, 품질 평판 우수
- Korea Foods Online / Local 한인 단톡방 공동구매
- 지역 커뮤니티 중심으로 운영되는 네이버 카페/카카오톡 기반 주문
- 행사 상품, 지역 직배송 등 유연한 운영 가능
활용 팁:
- 냉동식품 주문 시 금요일 배송 지양 (주말 보관 위험)
- 묶음배송 할인 품목 활용
- 유통기한 임박 상품은 반값 할인 진행되는 경우 많음
3. 아시아 슈퍼마켓에서 한식 재료 찾는 법
한인마트가 없는 도시라면, 아시아계 대형 슈퍼마켓에서도 기초적인 한식 재료를 구할 수 있다.
중국, 일본, 베트남 슈퍼마켓에서도 김치, 고추장, 간장, 쌀, 국수류, 냉동만두 정도는 공통적으로 판매된다.대표 슈퍼마켓:
- T&T Supermarket
- 전국 체인 보유, 김치/고추장/된장 등 취급
- 가격은 다소 높은 편
- 매장 내 한글 표기 제품도 다수 있음
- Oomomo / Nations / Foodymart 등
- 일본계, 중국계 중심 슈퍼
- 소스, 간장, 냉동 제품 구입 가능
- 김, 라면, 떡볶이 소스 등 한국식 브랜드 입점 확대 중
주의할 점:
- 일부 유사 제품은 한국산이 아닌 중국 OEM일 수 있으므로 제조국 확인 필수
- 김치는 유산균 수명이 짧기 때문에 냉장상태와 제조일자 체크
4. 현지 제품을 활용한 한식 대체재 추천
한식이 생각날 때 꼭 한국 제품만 고집할 필요는 없다.
현지 재료를 잘 활용하면, 한식 고유의 맛을 70~90% 정도 재현하는 것도 충분히 가능하다.
특히 워홀러나 유학생처럼 예산이 한정된 경우 이 방법은 매우 실용적이다.한식 재료 대체 팁:
한식 재료대체 가능 캐나다 제품비고대파 Green onion, Leek Leek는 향이 더 진함 고춧가루 Chili flakes + Paprika 중간 매운맛 조절 필요 된장 일본 Miso 깊은 맛은 약하나 대체 가능 국간장 Low sodium Soy sauce 색과 향은 약하나 감칠맛 보완 고추장 Sriracha + 설탕 + 된장 소량 임시 대체로 사용 가능 김치 김치스타터+배추+소금 DIY 김치 담그기 가능 이러한 조합은 현지 슈퍼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로 가능하며, 한인마트가 멀거나 예산이 빠듯한 경우 좋은 대안이 된다.
5. 캐나다 내 한식 밀키트/즉석식품 구입 팁
최근에는 냉동/냉장 형태로 제공되는 한식 밀키트나 레토르트 식품이 다양해져 자취생이나 요리 초보자에게 특히 인기가 높다.
대표적으로 비빔밥, 김치찌개, 육개장, 갈비탕, 잡채, 떡볶이, 잡곡밥 등이 있다.주요 브랜드:
- CJ Bibigo: 갈비탕, 육개장, 잡채, 군만두
- Pulmuone: 냉동볶음밥, 비빔면
- O’Food (오푸드): 즉석된장찌개, 순두부찌개
- 청정원: 즉석 반찬류
구매처:
- 한인마트 오프라인 및 온라인
- Amazon.ca (H Mart 제품 입점)
- Walmart 일부 매장 내 동아시아 섹션
- 한인 온라인몰 이벤트 시 대량 구매 추천
6. 한식이 그리울 때 활용할 수 있는 커뮤니티와 네트워크
현지에서 한국 음식을 꾸준히 즐기고 싶다면, 지역 한인 커뮤니티와 연결되어 있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SNS 기반 소통 채널은 단순 정보 공유뿐만 아니라 공동구매, 김치 나눔, 반찬 판매 등 생활밀착형 네트워크로 활용된다.추천 채널:
- 지역 한인 카카오톡 오픈채팅방 (예: “벤쿠버 워홀”, “토론토 유학생 모임”)
- Facebook 그룹: “Korean in Toronto”, “Korean Food in Canada” 등
- 네이버 카페: 캐나다 지역별 유학/이민 커뮤니티
- 중고나라/벼룩시장 게시판을 통한 반찬/김치 판매자 연결
활용 예시:
- 귀국하는 유학생이 팔고 가는 장비, 식자재, 냉동식품 저렴하게 구매
- 반찬 판매자에게 매주 정기 주문
- 한식 식당 운영자가 직접 김치나 국물 팩 판매하는 경우도 많음
'캐나다 생활 및 정착 가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캐나다 공휴일과 연휴 시즌 완전 정리 (0) 2025.04.30 캐나다의 전기 제품과 콘센트, 110V 정착 팁 (0) 2025.04.29 캐나다 치과 진료 실태와 보험 적용 여부 (0) 2025.04.27 캐나다 병원 이용 가이드: 예약, 진료, 약국까지 (0) 2025.04.26 캐나다 온라인 쇼핑몰 정리: Amazon, Walmart, Costco 등 (0) 2025.04.25